안구건조증 일교차 큰 가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작성자: 겨뚜리 | 발행일: 2022년 08월 26일

안구건조증

현대인들은 많은 시간을 컴퓨터,  텔레비전,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보내게 됩니다. 이런 기기들을 사용하다 보면 집중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눈 깜빡임이 감소하게 되면서 안구건조 증상이 나타나게 될 수 있습니다. 여름철에는 에어컨과 선풍기 등의 사용으로 인해 바람으로 인해 건조함을 느끼게 되고 겨울에는 실내 난방과 온풍기 사용으로 인해 안구가 건조해지게 되는데요. 가을에는 일교차가 커지고 건조한 날씨로 인해서 안구가 건조함을 느끼게 됩니다. 자연환경적 요인으로 인해서 건조함을 느끼게 될 수도 있지만 실내환경이 건조함을 유발하게 되는 경우 눈은 더욱 피로함을 느끼면서 건조하게 될 수 있습니다. 

 

안구건조증이란 무엇인가요?

안구건조증이라 불리는 눈물불안정 증후군은 안구에 눈물이 부족하거나 지나치게 눈물이 증발해 버려서 생기는 질환입니다. 이런 현상으로 인해 눈물 구성 성분의 균형이 깨지면서 안구 표면은 건조함을 느끼게 되고 안구 손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여러 원인으로 인해 나타나게 되는 안구건조증은 안구표면의 점액층, 수분층, 기름층의 균형이 깨지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점액층은 안구표면에 눈물막이 고정되게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수분층은 눈을 적시는 기능을 하며 눈을 불편하게 만든 외부로부터 들어온 이물질들을 씻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기름층은 수분 증발을 방지해주는 얇은 지방층을 이야기합니다. 이 세 가지 중 한 가지라도 문제가 생기면 안구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구건조증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는?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눈의 피로감이 높아지고 집중함으로 인해 눈 깜빡거림이 감소하게 되면서 안구 건조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콘텐즈렌즈를 오랜 시간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눈이 건조해질 수 있습니다. 눈의 노화,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에도 안구건조증이 발생하게 될 수 있습니다. 

 

안구건조증 증상은 어떤가요?

대표적 증상은 눈에 이물감이 느껴지고 자극감을 느끼면서 건조함으로 눈이 뻑뻑하게 느껴지면서 불편함을 느끼게 됩니다. 눈이 잘 충혈되고 눈의 피로감이 높아 눈을 뜨기가 어려우며 이런 증상들이 심할 경우 두통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런 상태를 방치하게 된다면 증상이 더욱 악화되면서 눈이 더욱 불편해지면서 흐리게 보이고 뿌옇게 보이는 증상과 함께 시력이 저하되면서 시력장애로까지 이러질 수 있습니다. 간혹 통증을 호소하는 증상이 심한 분들이 있는데 나아지겠지 하며 그냥 방치하시지 마시고 적극적으로 증상에 대해 원인을 파악하고 안구건조증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안구건조증을 느낀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눈이 건조해져서 피곤함을 느끼고 힘들다면 집에서 간단한 눈 마사지나 온찜질을 시행해 보는 것도 건조증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일교차가 커서 날씨 자체가 건조한 때이기 때문에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해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실내 온도를 20~22도 정도 유지해 주고, 습도를 40~60% 정도로 유지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안구건조증은 디지털기기 사용의 증가로 인해 현대인들에게는 쉽게 나타나는 질환이 되었습니다. 안구건조증이 생겼다면 방치하지 마시고 잘 관리해 주는 것이 좋고 발생하기 전이거나 발생초기라면 의식적으로 눈을 깜빡거리는 눈 운동을 해주고 눈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인공눈물 사용, 가습기 사용 등 건조증을 완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하여 안구건조가 더 심하게 진행되지 않도록 관리해 주세요. 

 

 

 

안구건조증 일교차 큰 가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