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도가 높고 더운 여름 장마철에는 오전에 조리한 음식도 저녁이 되면 상하게 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여름철 음식 섭취에 주의를 기울이고 조심해야 합니다.
식중독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온도의 변화로 인해 음식에 세균 번식과 독소가 생성되게 됩니다. 음식물의 미생물은 온습도가 높은 날씨에 저희의 생각보다 빠른 속도로 번식하게 됩니다. 고온 다습한 환경에 노출되어있던 음식물은 독소를 생성하고 이런 자연독이나 유해물질이 함유되었는지 모른 채 상한 음식을 섭취하면 식중독에 걸리게 되는 것입니다.
식중독의 종류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세균에 의한 감염 - 여름철에 발생률이 높은 세균성 식중독 입니다. 대표적인 세균으로는 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이질균, 장염비브리오, 콜레라 균등이 있습니다.
세균성 식중독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겠습니다.
- 포도상구균 - 바로 증상이 나타납니다. 식중독중 가장 빨리 증상이 나타납니다. 포도상구균 독소로 인한 상한 음식을 섭취하면 1시간 ~ 6시간 내에 구토와 설사를 하게 됩니다.
- 살모넬라균 - 계란을 먹을 때 조심해야 합니다. 닭, 오리 등 가금류가 감염의 원인으로 흔하게 나타납니다. 열에 취약한 살모넬라균은 62도 ~ 65도 정도에 30분 정도 가열을 하면 사멸하게 되므로 달걀을 잘 익혀서 먹으면 감염을 피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음식 조리 시 다른 식품으로 인해 2차 오염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이질균 - 손에 조금만 묻어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이질균은 변질한 음식이나 용변등으로 오염된 물을 통해 감염됩니다. 전염성이 높고 위산에도 잘 죽지 않아 손에 조금만 묻어도 이질이 생길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물속에서 2주 ~ 6주 정도 살 수 있고, 흙에서는 수개월도 살 수 있다고 합니다. 이질균에 감염되면 초기에는 구역질과 구토 증상이 나타납니다. 3주 ~ 6주 사이에는 하루 수차례 설사를 하게 되어 탈수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장염비브리오 - 읽지 않은 해산물을 먹은 사람에게 주로 발생하게 됩니다. 육지에 가까운 바다나 갯벌에 분포하는 경우가 많고 해수 온도가 올라가는 여름철에 급격히 증식하게 됩니다. 균이 체내에 10만 마리 정도 들어오게 될 때 발병하게 되는데 비브리오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비브리오 패혈증은 치료를 해도 환자가 절반 이상 사망할 정도로 무서운 병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생선회나 생굴 등 익지 ㅇ낳은 해산물을 먹은 만성 간염 환자나 간경변증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련 지병을 가지고 있다면 해산물은 꼭 익혀서 드시기 바랍니다.
- 콜레라균 - 분변이나 구토물 또는 오염된 물과 음식을 통해서 감염이 일어납니다. 오염된 손으로 음식을 만들 때 또는 음식을 섭취할 때 감염될 수 있습니다. 콜레라는 특별히 장마 끝에 주의해야 합니다. 감염이 되고 나면 보통 2일 ~ 4일간 잠복기가 있고 그 후 심한 설사와 탈수현상이 나타나 갈증을 느끼게 됩니다. 시간이 디나갈수록 피부는 푸른색으로 변하고 혈압은 떨어지며 정신상태가 불안해지기도 합니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꼼꼼히 30초 이상 손을 씻어야 합니다.
- 음식을 익혀먹어야 합니다. - 육류는 75도, 어패류는 85도로 1분 이상 가열하여 섭취해야 합니다.
- 음식은 바로 섭취해야 합니다.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으로 인해 휴가를 맞아 이동을 하는 중 음식물이 상하는 경우도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냉장고등이 없다면 바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식재료 조리기구는 깨끗하게 세척하고 소독해 줍니다. 요리 전에는 깨끗이 손을 씨어 주어야 하고 세척과 조리 순서는 채소 → 육류 → 어류 → 가금류 순서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음식 조리 시 도마와 칼을 식재료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합니다.
- 음식을 주로 보관하는 냉장고도 잘 관리해 주어야 합니다. 냉장식품은 5도 이하로 냉동식품은 -18도 이하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한 음식 섭취로 인해 식중독이 걸릴 수 있습니다. 복통이 일어나고 설사를 하게 되는 경우들이 있는데 심한 경우에는 입원 치료를 받게 되는 경우도 있으니 여름철 식중독 균을 조심하세요. 그리고 특히 장마철은 더 습하기 때문에 더욱 조심하셔서 건강하게 보내세요~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자들에게 많이 발병하는 방광염 생리전후 또는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원인과 치료방법 예방법 알아보세요~ (0) | 2022.08.16 |
---|---|
하지정맥류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은? (0) | 2022.08.15 |
3차 신경통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과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2.08.14 |
족저근막염 증상과 치료및 예방방법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 | 2022.08.11 |
손목터널 증후군 증상과 치료방법 (0) | 2022.08.09 |